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80

2023 막바지의 되돌아보는 글 이제 슬슬 집에서 이런거 틀 때가 되었다. 연말은 사람들에겐 언제나 예외였다. 난 언제나 심심한 때가 많다. 이런 말이 궁상 맞아보일지도 모르겠다만, 언제나 떠들석한 이벤트 보다야 차분하게 보내는 시간이 좋은 나로써는 적당한 정적은 내겐 필요하다. 하지만 연말만큼은 그럴 수 없다. 거리가 온통 붉은 색의 크리스마스, 신년의 기운으로 물들면 기분도 들뜨기 마련이니까. 다행히 이번 1년 동안은 발전한게 있다고 생각하기에, 별다른 불평없이 1년을 끝내고 싶다. 인터넷이 활성화 된 이후로는 "202X년 유행한 밈 모음"같은 영상들도 많이 생겼는데, 2019~2020년도 정도에 리듬세상 리믹스로 한번 보고 나서는 항상 어딘가에서는 결산이 올라오는 것 같다. 이런 연말정산 아닌 연말정산을 보고 나서야 비로소 "아 .. 2023. 12. 21.
[군대] 공군 전산병 후기!(주의 : 별로 좋지 않음) 2024년 7월 edit : 비행단을 피해... 치직 비행단을 피해... 치지직.. 전역한 지 며칠이 지났다. 어지간히 나오고 싶었는지 전역하기 전날에도 전역하는 꿈을 꾸었고, 오늘도 전역하는 꿈을 꿨다. 내용은 완전히 다르지만.  어쩌면 당연하지만, 나는 입막음을 서약해야 했다. 전역 전에 작성하는 서류에 마저도 "군 관련 보안사항을 전역 후에도 외부에 발설하거나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쓰여있는 뭔가에 서명을 해야 했던 기억이 난다. 실제로 그런 사항을 이야기하고 싶은 마음도 없고, 이야기할 일도 없을 것이다. 그래도 내가 어떻게 느꼈는지는 공유하고 싶다는 생각이다.  전산병도 나름 모집병이고, 그렇기에 어느 정도 자신의 운명을 정할 수도 있을 테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원하는 자대은커녕 원하는 .. 2023. 11. 24.
[ES6] function 함수와 화살표 함수의 차이 - JavaScript function으로 만들어진 함수의 this는 자신이 포함된 객체를 가리킨다. function BlackDog() { this.name = '흰둥이'; return { name: '검둥이'; bark: function() { console.log(this.name + ': 멍멍!'); } } } const blackDog = new BlackDog(); blackDog.bark(); // 검둥이 : 멍멍 json 객체가 상위 객체로 있기 때문이다. 화살표 함수의 경우는 이렇다 : function WhiteDog() { this.name = '흰둥이'; return { name: '검둥이'; bark: () => { console.log(this.name + ': 멍멍!'); } } } const whit.. 2023. 11. 24.
[백준/C++/Platinum(5)] 14003 -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5 14003번: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5 첫째 줄에 수열 A의 크기 N (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수열 A를 이루고 있는 Ai가 주어진다. (-1,000,000,000 ≤ Ai ≤ 1,000,000,000) www.acmicpc.net 본인이 해당 문제의 출제자가 아니며, 문제 자체에 대한 모든 사항은 위의 링크가 출처임을 명시합니다. “가장 긴 증가하는 XX수열”이라는 문제는 꽤 종류가 많다. 시간 간격을 두고 한두 문제씩 복습하면서 배우기 좋다. 앞으로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을 줄여거 LIS(Longest Increasing Subsequence)로 줄여서 부르겠다. 이런 수열들의 길이를 구하는 문제를 먼저 설명하고, 이 문제를 설명하려고 했는데, 이미 다.. 2023. 9.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