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대학교과/etc과목9 대학물리 - 수리물리학 1차 선형 미분 방정식 간단한거 풀기 저번에는 삼각치환으로 날 괴롭히더니 이번에는 미분 방정식을 갖다가 풀 일이 많아져서, 다시 복습 차원에서 이 글을 적는다. 내가 정리할 미분 방정식의 해는 정말 간단한것 중에 하나로, 이렇게 정리되는 식을 말한다. dvdt+c1v=c2 여기서 c1과 c2는 둘 다 상수이다. 원래 상수가 아니라 t에 관한 식이라도 괜찮지만(두 상수 모두), 여기서는 단순화해서 본다. 일단 모든 변에 ec1t를 곱해보자. ec1tdvdt+c1ec1tv=c2ec1t 이제 좌변을 곱의 미분법을 이용해서 묶으면 ddt(ec1tv)=c2ec1t 하고 .. 2021. 11. 7. 대학수학 - 수리물리학 / 삼각치환 물리학을 배우면서 삼각 치환법을 자주 쓰게 되어서 복습하는 차원에서 이렇게 포스팅을 해본다. 내가 이번에 풀게된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각 도선의 파트에 따라서 비오 - 사바르의 법칙을 적용해야할 때가 있다. 이걸 왼쪽의 도선에 대해서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μ0I4π∫1(a2+y2)32dy 를 어떻게든 적분해야한다. 이를 적분하는 과정은 삼각 치환을 동반하는데, 다음 과정과 같다 : 아무튼 삼각치환법 잊지말라고 쪽글을 남긴다. 수학 공부는 열심히! 2021. 10. 28. 대학수학 - 수열 관련 노트 단조수렴정리에 대한 증명 1. 수열 {an}이 증가하고 위로 유계이면 수열 {an}은 수렴한다. 위로 유계인 수열 {an}에 대해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해 an≤M을 만족하는 최소의 M을 M0라고 하자. (상계) 임의의 ϵ>0를 선택해서 an≤M0−ϵ을 모든 자연수 n에 대해서 만족한다고 한다면 앞서 이야기한 "an≤M을 만족하는 최소의 M을 M0라고 한다"라고 한 것에 모순 된다. 따라서, M0−ϵ≤an≤M0를 만족하는 적당한 자연수 N이 존재한다. 여기서 $|a_n - M_0.. 2021. 10. 12. [건축용어 정리] - 예술과 건축 선사시대 - 신석기 시대 가구식 축조법 : 두개의 기둥을 이용해서 하나의 돌을 받치는 식으로 짓는 구조법. 아치와는 대치됨. 인방 - 가로대 : 가구식 축조법에서 받쳐지는 돌 기둥 - 버팀목 : 가구식 축조법에서 받치는 돌 거석 문화 : 거대한 돌을 이용해서 구조물을 지었던 신석기 시대의 문화를 이야기함. 고인돌 : 탁자식으로 큰 돌을 얹어 놓은 구조물. 선돌 : 서 있는 큰돌로, 여러 개가 같이 서 있는 경우도, 아닌 경우도 있다. 환상 열석(cromelch) : 돌이 둥글게 서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말. 선사시대 - 메소토파미아 지구라트 : 메소포타미아 문명이 지은 건축의 정수.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는 일곱 개의 계단으로 된 높은 탑. 선사시대 - 이집트 주두 - 기둥머리 코니스 - 처마돌림띠 : .. 2021. 6. 6.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