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80

Spring - 기초 프로젝트 세팅과 spring boot / spring initalizr의 차이 굉장히 오래간만에 Java와 관련된 걸 건드려보는 듯 하다. 과거에도 다형성, 명시적인 코딩 스타일이 내 맘에 쏙 들었던 기억이 있어서, 기대가 되는 튜토리얼 이기도 한데, 인프런에서 내용을 가져와서 복습하는 식으로 배울 것이다. 언제나 이 사이트에서 프로젝트를 가져와서 시작하는 듯 하다. https://start.spring.io/ 이게 spring boot인가? 싶었는데 그건 아니었다. ChatGPT의 이야기에 따르면 이렇다 : spring-boot가 추구하는 바는 spring 프로젝트를 하다가 많은 설정을 하지 않아도 웹서버를 구축, 테스트, 배포하기 쉽도록 해주는 것이고, 그런 방식으로 동작하고자 하는 프레임워크이다. 반면 spring initalizr은 일단 프로젝트를 쉽게 세팅하는데 중점이 있.. 2024. 2. 24.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5원칙 SOLID 강의를 듣다 보니까 개인적으로 필기해 두는 게 좋을 것 같아서 여기다가 간단하게 노트처럼 적는다. S.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단일 책임의 원칙 어떤 객체는 한번에 한 가지 책임을 져야 한다. 이는 굉장히 모호하지만 해당 객체에 변경이 있을 경우 다른 객체에 주는 영향이 작을 수록 좋다는 것을 기준으로, 그때 마다 판단한다. O. Open-Close Principle - 개방-폐쇄의 원칙 객체는 확장에는 열려있되, 개방에는 폐쇄적이어야한다. 다형성을 활용하면 인터페이스/구현체를 분리하므로 확장하는 방향으로 개발하기가 쉬워진다. 다만, 다형성만으로는 해당 원칙을 완벽하게 지킬 수 없는게 결국 구현체를 선택하는 부분에 있어서 의존성이 발생해서 해당 부분의 코드를 수정해야.. 2024. 2. 17.
FlowForge(GTDList) 02-06 일지 (backend - express의 next) 정말 오래간만에 일지를 쓰는 것 같다. 역시 사람 마음가짐과 행동은 100% 일치할 수는 없나 보다. 여태까지의 성과, 그리고 이해한 것을 조금이라도 정리하고자 한다. 이전에도 이야기했다시피, 난 한 가지 레퍼런스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백엔드를 만들고자 하였다. 특히, 유저 파트는 그럴 수 밖에는 없었다. Restful 한 API를 넘어서서 cookie, jsonwebtoken을 이용해서 seemless 한 유저 경험을 만들어내는 것은 적어도 그 당시 나의 능력 밖이었다. 분하지만 어쩔 수 없다. 모르는 건 배우는 수밖에. 그래서 일단 그 코드를 분석하는데도 의외로 삽질이 꽤 많이 필요했다. (지금 글을 쓰면서 생각하는 것이지만... 어쩌면 코드를 분석하는 방법이 잘못된 것은 아닐까? commit log를.. 2024. 2. 6.
REDUX 모르겠어요... 도저히 안될 것 같아서 올린다. 모르겠고 귀찮다... 으아아ㅏ아앙 백엔드를 계속 만지다가 프런트엔드에서 연결작업을 해보고 있는데, 이놈의 리덕스 쪽이 전부 해결이 되지를 않는다. ChatGPT한테 물어볼게 산더미고 가면갈 수록 너무 복잡해져서 슬슬 내가 뭐하는지 모르겠어서 결국은 반쯤 놔버렸다... 흠... redux를 써서 스토어 하면 깔끔하게 코드를 쓸 수 있다고, 괜찮은 투자였다고 생각했다. 근데 아쉽게도, 나는 리덕스에 발끝자락만 담그고서는 괜찮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생각보다 공부해야 할 게 많은 state machine이었고, 최근에서야 전체적인 그림을 파악하고 조금씩 개발을 하고는 있지만... 또 이것 때문에 지쳐버려서 그냥 노는 게 부지기수가 되어버렸다. 그러니까... 전에 내가 포스팅해서 .. 2024. 1. 22.
728x90
반응형